본문 바로가기
슬기로운 회사 생활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by 엔트홍(Anthong) 2022. 8. 16.
반응형

1. 기업내부 데이터 베이스

정보통신망 구축이 가속화되던 90년대 부터 기업경영 전반에 관한 인사, 조직, 생산, 영업활동을 포함한 모든 자료를 연계하여 일관되 체계로 구축, 운영하는 회사의 모든 자원(데이터를)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확대

  • OLTP  [On-Line Transaction Processing(온라인 거래 처리)]
    • 복수의 사용자 PC에서 발생되는 트랜잭션(Transaction)을 DB서버가 처리하고, 그 결과를 요청한 사용자PC에 결과값을 되돌려주는 과정
    • 1개의 요청작업을 처리하는 과정
    • 다양한 과정의 연산이 하나의 단위 프로세스로 실행되도록 하는 단순 자동화에 치우쳐 있는 시스템
  • OLAP [On-Line Analytical Processing(온라인 분석 처리)]
    • DB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에게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처리방법
    • 다차원의 데이터를 대화식으로 정보를 분석 및 의사 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통계적인 요약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분석 기술(다차원의 데이터를 대화식으로 분석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 OLTP vs OLAP
구분 OLTP OLAP
사용 운영자 분석가
기반/활용 업무 처리 기반
(많은 수의 온라인 단기거래 관리)
데이터 분석 기반
(데이터 분석에 사용)
특징 진행 중인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데이터로 나타냄 모든 유형의 비즈니스 활동을 
다양한 차원으로 나타냄
데이터베이스 타입 기존 DBMS 사용 데이터 웨어하우스(DW)사용
응답시간 밀리초 단위 처리가 느림
정규화 X O
데이터 특성 트랜잭션 중심 주제 중심
  • DW (Data Warehouse, 데이터 웨어하우스) : 정보검색을 목적으로 구축된 데이터 베이스
  •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기업자원관리) : 기업 전체의 자원을 효과적이며,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경영의 효율화를 기하는 수단, 정보의 통합을 위해 기업의 모든 자원을 최적의 상태로 관리하기 위한 기업 경영정보 시스템
  • BI(Business Intelligence) : 데이터를 통합/분석하여 기업 활동에 연관된 의사결정을 돕는 프로세스.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리포트 중심의 도구
  • BA(Business Analytics) : 데이터 통계를 기반으로 성과에 대한 이해와 비즈니스 통찰력에 초점을 둔 분석 방법. 비즈니스 통찰력 획득 및 선제적 의사결정을 목적으로 하며 과거 성과 데이터에 대한 반복적 탐색 및 연구를 위한 역량 기술 응용/실행 프로그램(통계적이고 수학적 분석에 초점)
  •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고객관계관리) : 고객에 대한 정보를 이해하고 그로 인해 고객이 원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인해 고객과의 관계를 장기적으로 구축하는 고객관계관리 프로세스
  • EAI(Enterprise Applications integration) : 기업 어플리케이션 통합
  • EDW(Enterprise Data Warehouse) : 업무 시스템 별로 흩어져 있는 각종 업무정보를 최종 사용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회사 내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다차원적으로 신속하게 분석하여 필요한 정보에 용이하게 접근,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
  • SCM(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망 관리) : 기업에서 생산, 유통 등 모든 공급망 단계를 최적화해 수요자가 원하는 제품을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제공하는 "공급망 관리"
  •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 지식 관리 시스템) : 지적 재산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기업 경영을 지식이라는 관점에거 접근하는 방식
  • RTE(Real Time Enterprise) : 최신 정보를 이용해 자사의 핵심 비즈니스 프로세스들의 관리와 실행 과정에서 생기는 지연사태를 제거함으로 경쟁하는 기업 시스템

2. 분야별 사회 기반 구조로서의 데이터 베이스

  • 물류부문
    • 물류부문은 '실시간 차량추적'이라고 할 수 있는 종합물류망이 대표적
    • 종합물류망은 CVO(Commercial Vehical Operation System, 화물운송정보), EDI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물류정보), 부가서비스로 구성
    • 종합물류망에 해양수산부의 PORT-MIS(항만운영 정보시스템), 철도청의 KROIS(철도운영정보 시스템), 복합화물터미널망, 항공정보망, 민간기업 물류 VAN(Value Added Network)를 연결
  • 지리/교통부문
  •  1995년 시작된 국가지리정보체계(NGIS) 구축은 국가지형도와 공통주제도, 지하매설물도를 전산화하여 기본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관련 기술 개발과 함께 범국가적인 활용을 위한 국가 표준설정과 활용체계를 개발하는 사업
  •  교통정보는 동적(실시간) 교통정보와 정적(비실시간) 교통정보로 나뉘며, 실시간 교통정보는 ITS, 비실시간 교통정보는 교통정책 및 계획 수립 등에 필요한 교통 분야별 기초자료 및 통계를 제공하는 DB를 말함
    •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시스템)
    • RS(Remote Sensing, 원격탐사)
    •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혹은 범지구위치결정 시스템)
    •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지능형 교통시스템)
    • LBS(Location Based Service, 위치기반 서비스)
    • SIM(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공간정보관리)
  • 의료부문
    • 1996년부터 53개 기관을 대상으로 의료EDI 상용서비스가 제공
    •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s System, 영상처리 시스템)
    • u헬스(ubiquitous-Health)
    • ABC, BSC, 6시그마 등의 경영기법이 주요 병원을 필두로 도입
  • 교육부문
    • 1단계 교육정보화종합계획(1997~2000)은 정보 소양 교육을 위주로 진행
    • 2단계 사업(2001 ~ 2005)은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각종 교육정보의 개발 및 보급, 정보 활용 교육, 대학 정보화 및 교육 행정정보화 사업 추진
    • NEIS(Nation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교육행정정보시스템)

* 표 : 분야별 데이터베이스

분야 데이터베이스
물류부문 COV(Commercial Vehicle Operation System)
PORT-MIS(항만운영정보시스템)
지리부문 NGIS(국가지리정보체계), RS(Remote Sens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교통부문 ITS(지능형교통시스템,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의료부문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s System)
U헬스 (Ubiquitous-Health)
의료 EDI
교육부문 NEIS(교육행정정보시스템)

[기출문제]

용어와 의미를 서로 연결한 것이다. 다음 중 용어-의미가 적적하게 연결된 것을 무두 나열한 것은?

가. OLTP : 다차원 데이터를 대화식으로 정보를 분석 및 의사 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 기술
나. KMS : 지식 관리 시스템
다. SCM : 공급망 관리
라. NEIS : 지능형 교통시스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