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찌라시

미국의 고용부진과 경기부양책의 부담요인

by 엔트홍(Anthong) 2021. 2. 9.
반응형

1. 부진한 미국의 고용시장


1월 비농업 취업자수는 4.9만명 증가하며 전망치(10.0만명)를 하회했고, 실업률은 6.3% 기록해 전월대비 -0.4%p 하락했다. 경제활동 이탈로 하락한 부분이 존재한다. 실업자 내 영구실업자 비중은 34.6%로 지난해 12월(31.4%) 대비 상승했고 27주 이상 장기실업자 비중(39.7%) 또한 지난해 12월(36.8%) 대비 높아지고 있다.

2. 경기부양책에 대한 과도한 기대는 경계할 필요


9월까지 주당 400달러의 추가 실업급여 지급 연장을 결정했고, 3월 만료 예정이었던 팬데믹 긴급실업수당(PEUC), 4월 만료 예정인 자영업 실업 보조금(PUA) 프로그램의 추가 연장이 포함된 경기 부양책 발표 했다. 부양책에 대한 기대는 최소한 질병이 통제되기까지, 그 사이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충격에 대응한다는 취지로 한정할 필요가 있으며, 부양책으로 인한 매크로 측면의 질적 회복에 대한 과대한 기대는 경계할 필요가 있다. 장기적 관점에서 1.9조 달러 규모의 부양책 통과로 재정적자는 더욱 커질 수 있으며 향후 추가적인 부양책 논의에 따른 금리 상승 속도 역시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3. 경기부양이 자극할 수 있는 부담요인

지난해 5차례에 걸쳐 투입한 부양책의 규모는 3.4조 달러 이다. 이번 부양책은 지난해 전체 부양책 규모의 절반 수준에 머물렀다. 가계소득의 증가 효과는 펜데믹 이후 소득과 소비 반등을 이끌었던 CARES Act를 상회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로 일상적인 소비 생활이 쉽지 않은 가운데, 추가 이전소득 지급은 자산 시장을 자극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향후 질적 회복이 동반되지 못한 상태에서 자산 시장이 과열 징후를 보일 시 추가적 정책 추진과 시장참여자로 하여금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