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공시

신테카바이오

by 엔트홍(Anthong) 2023. 6. 28.
반응형

AI 신약개발에 주목할 시점, 매출 발생 구간 진입
2023-06-28SK증권/ 허선재
투자의견 : N/R

리포트 내용 요약

신테카바이오는 09 년 설립, 19 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국내 최초/유일 AI 신약개발 상장

동사의 수익구조는 ①AI 신약개발 플랫폼 사용료 수익 ②자체 AI 신약 개발 플랫 폼을 통해 발굴한 유효물질 L/O 수익 (현재 발생 x) 등.

지금 신테카바이오에 주목할 이유는 2H23 부터 ①클라우드 AI 신약개발 플랫폼 매출 발생 ②자체 발굴 후보물질 L/O ③데이터 바우처 사업 개시 등을

통해 지금까지 동사의 주요 단점으로 꼽혔던 '연 구성과 부재에 따른 실적 공백'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 (19~22 평균 매출 액 4 억원, 영업적자 82 억원).

상장 이후 만 5 년만인 이제서야 성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 상되는 이유는
①후보 물질 탐색 성능이 5 배 이상 개선된 Deep Matcher 버전 2.0 3Q22 출시
②접근성/신속성이 개선된 클라우드 서비스 4Q22 미국 출시
③JPM, BIO USA/EU 등 국제 행사 참석을 통한 긍정적인 잠재 고객사 수요가 1H23 확인되었기 때 문.

향후 다수의 신규 고객사 확보/MOU 체결 등을 기대해도 좋다는 판단.

캐시카우 확보: 합성신약 후보물질 발굴 플랫폼 Deep Matcher 를 탑재한 STB 클라우 드 서비스를 4Q22 미국에 출시하며 글로벌 시장 본격 진출.

편의성과 정확도 개선에 따 라 긍정적인 잠재 고객사 반응 확인.

본격적인 수요 대응을 위해 연말까지 슈퍼컴퓨터 캐파 1 만대까지 확충될 예정 (현재 3 천대).
2H23 에는 신생항원 발굴 플랫폼 NEOARS, 항체신약 플랫폼까지 클라우드에 신규 탑재되며 고객 만족도가 더욱 높아질 것.

임상 진입 및 L/O 가능성: 동사 Deep Matcher 플랫폼을 통해 자체 확보한 유효 물 질 100 개 중 일부가 전임상 결과에서 유효성이 확인된 상황 (자가면역 피부질환 치료제 등).

설립 이후 처음으로 자체 임상 진입 및 L/O 가능성이 부각된 상황으로 단기적으로 그동안 보여주지 못했던 AI 신약개발 부문에서의 경쟁력 입증될 것. 내년부터는 연쇄 L/O 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하반기부터 꾸준한 모멘텀 지속 발생 전망.

연초부터 괄목할만한 주가 상승을 보여준 AI 진단 업체(루닛 등) 대비 AI 신약 개발사의 부진한 주가 흐름은 ①AI 진단 대비 느린 AI 신약개발의 매출 구현 시점 ②임상 진입이 나 L/O 등 뚜렷한 결과물 부재 ③관련 종목수 부족 등에 기인한다는 판단. 하지만 2H23 부터 여러가지 환경적 변화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

①동사 입장에서는 캐시카우 확보+자체 임상/LO 가능성 등 부각 ②유일한 국내 Peer 가 될 AI 신약개발사 파로스아 이바이오 7 월 상장 (예상 시총 1,800~2,300 억원) 예정.

더불어 정부는 국내 AI 신약개 발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한국판 EU멜로디인 K-멜로디를 추진중에 있으며 올해 예산 심의 완료 후 내년부터 본격 시행할 전망.

AI 라는 거대한 글로벌 흐름+정부정책+개별 종목단의 성장 모멘텀이 겹치는 구간에 진입하기 때문에 지금부터 신테카바이오에 주목 할 필요가 크다는 판단.

다만 1Q23기준 250억원 수준의 미상환 CB는 수급 부담 요인

반응형

'주요공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웅진씽크빅  (0) 2023.06.28
빙그레  (1) 2023.06.28
큐렉소  (1) 2023.06.28
인텔리안테크  (0) 2023.06.28
하나기술  (0) 2023.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