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황

2024년 11월 20일 증시 마감 : 밸류업펀드 D-1, 코스피 3일 연속 상승

by 엔트홍(Anthong) 2024. 11. 20.
반응형

2024년 11월 20일 증시 마감 : 밸류업펀드 D-1, 코스피 3일 연속 상승
2024년 11월 20일 증시 마감 : 밸류업펀드 D-1, 코스피 3일 연속 상승

📈 오늘의 증시 핵심 포인트

  • 📊 코스피: 2,482.29P (+0.42%) 3일 연속 상승
  • 📊 코스닥: 682.91P (-0.47%) 2일 연속 하락
  • 💰 밸류업펀드 2,000억원 투자 개시 D-1
  • 💼 기관 매수세 1,729억원 VS 외국인 매도세 1,857억원
  • 🌏 원/달러 환율: 1,390.9원 (-2.1원)

1. 증시 현황 종합

장 마감 하이라이트

국내 증시는 혼조세를 보이며 마감했습니다. 코스피는 기관의 강력한 매수세에 힘입어 3일 연속 상승했으나, 코스닥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로 2일 연속 하락했습니다.

주요 지수 동향

  • 코스피: 2,482.29 (+10.34P, +0.42%)
  • 코스닥: 682.91 (-3.21P, -0.47%)
  • KOSPI200: 329.02 (+0.28%)

거래 규모

  • 코스피 거래대금: 7.7조원
  • 코스닥 거래대금: 7.7조원
  • 유가증권 시장 거래량: 9.2억주

2. 핵심 시장 동인

📊 투자자별 매매 동향

투자자 코스피 코스닥
기관 +1,729억원 -357억원
외국인 -1,857억원 -558억원
개인 -866억원 +831억원

주요 특징

  • 외국인: 코스피 시장 9거래일 연속 순매도
  • 기관: 코스피 시장 2거래일 연속 순매수
  • 개인: 코스닥 시장 중심 순매수

🔍 주요 시장 모멘텀

상승 요인

  • 밸류업 펀드 투자 개시
    • 21일부터 2,000억원 규모 투자 시작
    • 3,000억원 추가 조성 예정
  • 기관 투자자 순매수
    • 금융, 음식료 업종 중심 매수세
    • 코스피 시장 수급 개선

하락 요인

  • 외국인 수급
    • 9거래일 연속 순매도
    • 전기전자, 화학 업종 중심 매도
  • 반도체 업종 약세
    • 삼성전자 2거래일 연속 하락
    • 엔비디아 실적 발표 앞둔 관망세

3. 업종별 분석

📈 코스피 업종 동향

상승 업종

  • 통신업 (+2.94%)
    밸류업 기대감으로 강세
  • 음식료업 (+2.77%)
    오리온 실적 호조 영향
  • 운수장비 (+1.93%)
    자동차주 중심 상승
  • 금융업 (+1.78%)
    밸류업 수혜 기대

하락 업종

  • 건설업 (-1.09%)
    수주 부진 우려
  • 전기가스업 (-1.05%)
    실적 부진 전망
  • 전기전자 (-0.64%)
    삼성전자 약세 영향

📊 코스닥 업종 동향

상승 업종

  • 의료/정밀기기 (+1.65%)
    실적 개선 기대감
  • 섬유/의류 (+1.14%)
    소비 회복 기대
  • 오락/문화 (+0.47%)
    엔터株 강세

하락 업종

  • 기타서비스 (-2.95%)
    실적 부진 우려
  • 운송장비/부품 (-1.40%)
    수출 둔화 영향
  • 건설 (-1.12%)
    업황 부진 지속

🏢 시가총액 상위종목 동향

주요 종목 등락

상승 종목 하락 종목
  • HD현대중공업 (+5.12%)
  • KB금융 (+4.37%)
  • 신한지주 (+3.72%)
  • 기아 (+2.94%)
  • 삼성전자 (-1.78%)
  • 셀트리온 (-0.70%)
  • 알테오젠 (-6.78%)

4. 주요 이슈

🔍 오늘의 핵심 이슈

1️⃣ 밸류업 펀드 투자 개시 임박

  • 21일부터 2,000억원 규모 펀드 투자 시작
  • 추가 3,000억원 조성 계획
  • 금융, 통신 업종 중심 기대감
영향: 금융주와 통신주 중심 상승세 견인 예상

2️⃣ 엔비디아 실적 발표 앞둔 관망세

  • 20일(현지시간) 실적 발표 예정
  • 시장 예상 매출액 331억달러 (+82.8% YoY)
  • AI 수요 지속 여부 주목
영향: 반도체 업종 전반적 관망세 형성

3️⃣ 외국인 매도세 지속

  • 코스피 9거래일 연속 순매도
  • 전기전자, 화학 업종 중심 매도
  • 환율 변동성 영향
영향: 대형주 중심 상승 제한 요인으로 작용

📊 주요 시장 지표

지표 수치 변동
원/달러 환율 1,390.9원 -2.1원
국고채 3년물 3.873% -2.1bp
WTI 유가 $69.39 +0.33%

4. 주요 이슈

🔍 오늘의 핵심 이슈

1️⃣ 밸류업 펀드 투자 개시 임박

  • 21일부터 2,000억원 규모 펀드 투자 시작
  • 추가 3,000억원 조성 계획
  • 금융, 통신 업종 중심 기대감
영향: 금융주와 통신주 중심 상승세 견인 예상

2️⃣ 엔비디아 실적 발표 앞둔 관망세

  • 20일(현지시간) 실적 발표 예정
  • 시장 예상 매출액 331억달러 (+82.8% YoY)
  • AI 수요 지속 여부 주목
영향: 반도체 업종 전반적 관망세 형성

3️⃣ 외국인 매도세 지속

  • 코스피 9거래일 연속 순매도
  • 전기전자, 화학 업종 중심 매도
  • 환율 변동성 영향
영향: 대형주 중심 상승 제한 요인으로 작용

📊 주요 시장 지표

지표 수치 변동
원/달러 환율 1,390.9원 -2.1원
국고채 3년물 3.873% -2.1bp
WTI 유가 $69.39 +0.33%

 

5. 투자 전략 및 시사점

📈 단기 시장 전망

주목할 포인트

  • 밸류업 펀드 효과
    • 21일 투자 개시에 따른 수급 변화 예상
    • 금융, 통신 업종 중심 관심 필요
    • 3,000억원 추가 조성 효과 주목
  • 엔비디아 실적 영향
    • 반도체 업종 전반의 방향성 결정 요인
    • AI 수요 지속 여부 확인 중요

💡 투자 전략

업종별 접근 전략

업종 전략 주의사항
금융 밸류업 수혜주 선별적 접근 단기 과열 주의
반도체 엔비디아 실적 확인 후 대응 외국인 수급 변화 주시
자동차 실적 개선주 중심 접근 환율 변동성 영향 고려

⚠️ 투자 유의사항

  • 수급 변동성 주의: 외국인 매도세 지속 여부 확인
  • 섹터 로테이션 대비: 업종별 순환매 가능성 고려
  • 실적 중심 접근: 펀더멘털 기반 종목 선별 중요

📝 결론

기관의 강력한 매수세와 밸류업 펀드 효과에 힘입어 코스피는 상승세를 이어갔으나, 외국인의 지속적인 매도세와 반도체 업종의 약세로 상승폭은 제한적이었습니다. 21일 밸류업 펀드 투자 개시와 엔비디아 실적 발표가 단기 시장 방향성을 결정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섹터별 차별화 전략이 필요해 보입니다.

📚 참고자료

  • 한국거래소 마감 시황
  • 주요 증권사 리서치 자료
  • 금융투자협회 통계자료

* 본 분석은 2024년 11월 20일 장 종료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추후 시장 상황에 따라 투자 의견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