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징주

장전 시장별 이슈 체크_21-01-07

by 엔트홍(Anthong) 2021. 1. 7.
반응형

Korea Market
1. 장 중 3,000pt 돌파 후 하락 마감. 거래소 -0.75%, 코스닥 -0.44%
- 장 시작 후 3027.16pt를 기록하며 사상 최초로 3,000pt를 넘어 사상 최고가를 경신. 코스닥 역시 강세를 보이며 장 중 990.88pt를 기록. 양 시장 모두 장 후반에 약세 마감
- 기관과 외국인의 매도세로 하락 마감을 하였지만 지수 3,000pt 돌파 주역은 개인의 매수세. 개인은 전일도 1조7,293억 원을 매수하며 상승을 견인
- 3,000pt 돌파, 개인 거래대금 증가 등 다양한 호재로 인해 증권업종(한화투자증권, 키움증권, KTB투자증권 등)이 강세
 
2. 2보 전진을 위한 1보 후퇴
- 새로운 마디 지수 도달 후 차익 실현 물량으로 하락하였지만 지수 상승의 주요 원인인 유동성 증가와 개인투자자의 증시 참여 현황은 불변. 추가적인 대기 자금의 증가가 증시 상승을 이끌 것으로 기대
- 미국 민주당의 우위(블루웨이브)는 테크기업에 대한 규제, 추가 부양책 증액, 친환경 산업 확대과 같은 이슈를 통해 한국 증시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
 
USA Market
1. 다우 1.44%, S&P500 0.57% 상승한 반면, 나스닥 0.61% 하락
- 조지아주 결선투표에서 민주당 상원이 2석 확보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추가 부양책 기대감 높아졌지만, 법인세율 인상, 기술기업에 대한 규제 우려 확대됨. 이날 WTI는 배럴당 1.40% 상승한 50.63달러 기록 (작년 2월 이후 첫 50달러선 회복).달러화 하락, 금값 상승.국채금리 10년물 작년 3월 이후 첫 1% 돌파
 
2. S&P500섹터 중 금융, 소재, 에너지 등 상승 vs 기술, 커뮤니케이션 등 하락    
- 바이든정부의 기술기업 관련 규제강화 가능성에 FAANG종목 모두 하락.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 0.32% 하락, 엔비디아는 영국 경쟁당국(CMA)이 ARM인수에 대한 조사에 착수하자 5.90% 급락. 한편, 테슬라는 MorganStanley가 목표가를 810달러로 상향조정한 후 2.84% 상승.모더나도 EU의 백신 최종 사용승인 후 6.48% 급등.그외 금리상승에 금융주인 JP모간, 뱅크오브아메리카 등 각각 4.70%, 6.26% 급등
 
China Market
1. 상해 증시 +0.63%, 심천 증시 +0.26%, Star50 -0.71%, Chinext +0.55%
- 대외 불확실성 확대와 차익매물 실현 부담에도 증시 연일 상승을 기록. 거래대금은 11,672억 위안으로 연일 1조위안대 유지. 외국인자금은 2.36억위안 순유입(후구퉁 +18.69억위안, 선구퉁 -16.33억위안)
- 12월 차이신 서비스업 PMI는 56.3으로 전망치(57.9) 및 이전치(57.8) 소폭 하회
- 트럼프 대통령, 알리페이, 위챗 등 중국 모바일 APP 8개와 거래를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으며 45일 뒤 발효할 예정. 이에 알리바바 ADR(BABA.US) 5.38% 급락
- 뉴욕증권거래소는 중국 3대 이동통신사의 상장폐지를 다시 결정하며 입장을 재차 선회
 
2. 석유·화학, 시멘트, 제약·바이오 섹터 강세
- 상승 섹터: 건자재 +2.65%, 은행 +2.49%, 방산 +1.59%, 제약바이오 +1.41%
- 하락 섹터: 컴퓨터 -2.24%, 통신 -1.86%, 여행/레저 -1.61%, 전자 -1.54%
- OPEC+ 감산 협의로 공급과잉 우려 해소되며 석유·화학 업종 강세가 부각. 차이나오일필드(603619.SH) +8.09%, 양태이오일필드(002353.SZ) +6.91% 상승
- 중국 자동차, 가전, 음식료 소비 진작 정책과 춘절 수요 확대로 주류 섹터도 연일 강세 시현
 
* 본 자료는 준법감시팀의 승인을 받은 자료입니다.투자 품의 時 다음 사항은 반드시 포함 되어 있어야 합니다
.

 - 경영계획 및 기 집행 금액

 - 해당 투자의 타당성 (경제성&효과성) 증명

 - 투자 금액 外 투자와 동반되는 비용

    ex) 시스템 및 설비 투자 時 향후 발생 되는 유지보수 비용 총액 명시

 - 투자 일정

 - 투자 재원 (계약원가 반영 or 자체 비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