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도체/전기전자
AMD, 신규 라이젠3 노트북 CPU칩 1Q21 공급 부족 예상
- link: https://bit.ly/3960xtL
UMC, 12인치 파운드리 시세 발표
- 대만 파운드리업체 UMC, 현재 팹의 타이트한 캐파로 인해 12인치 파운드리 가격인상
- link: https://bit.ly/3hN6VKm
CHPT, 프로브카드 신규 공장 건설 예정
- 대만 반도체칩 테스트솔루션 업체 CHPT, 대만북부에 신규 공장 건설하여 캐파 확장 계획
- 현재 두번째 공장가동률은 2021년말까지 70% 초과하고, 2023년에는 100%일 것
- link: https://bit.ly/2JPidBh
'수출 1000억弗' 반도체 빅사이클 온다…정부, 사상 첫 반도체 전망치 발표
- 정부, 2021년 반도체수출이 전년비 10.2% 증가하면서 1000억달러 돌파할 것으로 전망
- link: https://bit.ly/2KYTcV5
애플, 2세대 AR글라스 프로토타입 개발 착수
- link: https://bit.ly/392JrwY
● 화학/정유
(주간 싱가폴 복합정제마진 동향) 1$ 전후에서 등락 중
- 2019년 4분기 1.7$ → 2020년 3분기 0.1$ → 11월 1.2$ → 12월 5주 1.8$/배럴 (과거 평균 5.8$, 손익분기점 4.0$) → 1월 6일 1.24$/배럴
(중국 석화제품 가격 동향, 1월 6일)
- 상승폭 大: LPG +3.48%, 폴리실리콘 +2.62%, MTBE +2.38% 하락폭 大: 아세톤 △5.46%, 2-EH △2.29%, 아세트산 △1.57%
(태양광 주간 가격)
- 폴리실리콘 평균가격 10.790$/kg (WoW +2.08%), 웨이퍼 평균가격 0.154$ (WoW +1.32%), 모듈 평균가격 0.169$/Watt (WoW +0.00%)
(미국 정유사 가동률)
- 직전주 (12월 4주) 79.4%, (12월 5주) 80.7%
● 철강/금속
후판업계, 조선향 후판 "적자판매 못한다"
-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국내 주요 조선용 후판업체들이 올 상반기 가격 협상에서 만큼은 절대로 물러설 수 없는 입장이라고 전해
- 유통 및 비조선향 후판 가격은 톤당 10만원 이상의 인상을 실시한 상황이며 추가 인상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 이에 따라 조선용 후판 가격 역시 유통향 수준의 가격 인상만큼은 이뤄져야 하지 않겠느냐는 의견이 지배적
- link: https://bit.ly/2XkBddW
동국제강, EGI 소재용 냉연 ‘수급난’··· 감산 불가피
- 동국제강이 전기아연도금강판(EGI) 소재용 냉연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주요 구입처인 포스코가 판매량을 줄인 영향이 커 보여
- 포스코는 이달 동국제강 등 외부 고객사에 판매하는 냉연강판 물량을 평소의 절반 수준으로 줄여. 2월에도 평소보다 20~30% 정도 물량을 축소할 예정으로 알려져. 자가 소비 비중이 늘었다는 이유
- 그렇다고 중국산 수입재 쪽으로 눈을 돌리기도 마땅치 않아. 물량 자체를 확보하기도 어려울뿐더러 가격대가 많이 높아져 수익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지적
- link: https://bit.ly/2Xet2A0
● 건설/건자재
서울 준공업지역 개발 시동…`변창흠식 공급대책` 윤곽
- 국토부와 서울시는 `민관합동 준공업지역 순환정비사업` 공모를 7일부터 받는다고 밝혀, 준공업지역은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이 도심 주택 공급 방안의 하나로 제시한 바 있어
- LH와 SH공사가 산업·주거 복합 공간을 조성하고 새로 짓는 산업시설 일부는 대체 영업시설로 활용해 준공업지역 정비를 촉진한다는 구상, 준공업지역 주택 공급 활성화를 위해 용적률 인센티브 등을 강화하는 방안도 검토
- 하지만 이번 사업으로 공급하는 주택은 임대 위주라 실제 수요자가 원하는 분양주택과는 거리가 있다는 지적, 준공업지역은 기숙사와 임대주택 공급은 허용하지만 아파트 등 공동주택 공급은 제한
https://bit.ly/3nlYEOC
홍남기 "부동산에 모든 정책역량 투입"
- 홍 부총리는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녹실회의를 주재, 참석한 장관들에게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위해 관계부처가 긴밀히 협업해 가용한 모든 정책 역량을 투입하겠다"고 말해
- 한편, 홍 부총리는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는 올해 정부의 110조원 규모 투자 추진 계획을 공개하면서 주거 안정에 집중 투자할 것이라고 밝혀
- "주거 안정, 한국판 뉴딜, 신산업 육성 등 핵심 분야에 중점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라며 "올해 상반기 내 3기 신도시 건설 등 주거 안정에 26조4000억원, 신재생에너지 건설 등 한국판 뉴딜에 3조4000억원을 포함해 34조원(53%) 이상의 투자를 실행하겠다"고 부연
https://bit.ly/35f0JWE
이재명 "민간에 도심 고밀도 맡기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여러 기관에서 용적률을 완화하는 등 도심을 고밀도로 개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은데, 몇 가지 조건을 달지 않는다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고 말해
- 그는 먼저 도심 고밀도 개발에 앞서 투기근절방안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하며 공공환매부 또는 토지임대부 공급이나 실거주요건 강화, 매매 시 높은 양도소득세 부과 등이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소개
- 또 민간개발은 원칙적으로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도심지 주택개발만큼은 공공이 맡아 공공성에 입각한 공급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
https://bit.ly/3on26Kh
서울시, 공공임대 품질 높인다
- 업계에 따르면 서울시는 지난달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에 ‘임대주택 품질 제고를 위한 개선 방안’ 마련을 주문, 다가구 등 매입임대에 대한 전수조사와 관리에 대한 혁신 방안 마련토록 하는 게 골자
- 서울시는 시내 임대주택에 대한 통합관리 시스템도 마련할 계획, 개별 임대주택에 대한 정보관리시스템을 만들고 매입 및 공급이력 등 주택정보현황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해 공급의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방침
- 정부가 부동산 가격 안정을 위해 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임대주택을 적극 활용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가운데 서울시도 지원 사격에 나선 것으로 풀이
https://bit.ly/3oftiut
'강남3구' 아파트 누가 샀을까…4가구 중 1곳은 지방 거주자
- 경제만랩이 한국부동산원(옛 한국감정원)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11월 강남3구에서 발생한 총 11,433건의 아파트 매매거래 중 25.6%(2927건)가 외지인에 의한 거래로 나타나
- 강남3구 아파트의 외지인 매입 비중(1~11월 기준)은 2016년 18.8%에 그쳤으나 △2017년 21.2% △2018년 23.5% △2019년 24.0% 등으로 최근 몇 년간 계속 높아져
- 다주택자에 대한 세금 규제 강화로 서울 강남과 같은 요지에 ‘똘똘한 한 채’를 마련하려는 수요가 많아진 영향으로 풀이
https://bit.ly/395PW2b
'1주택 1분양권' 양도세 폭탄 피하려면 3년 내 기존 주택 팔아야
- 기획재정부는 2020년 세법개정 후속 시행령 개정안을 발표, 관심을 모은 일시적 ‘1주택 1분양권’에 대한 양도세 과세는 기존 ‘1주택 1입주권’과 동일한 비과세 특례 조항을 적용하기로 해
- 현행 세법은 입주권은 주택으로 보지만 분양권은 주택에 포함하지 않아 형평성 문제가 거론, 이에 따라 기재부는 지난해 세법개정을 통해 분양권도 주택으로 봐 양도세를 중과하는 방안을 마련
- 다만 이 경우 기존 집을 팔 예정인 일시적 2주택 가구의 세금 부담이 커질 수 있어 1주택 1분양권을 보유해도 기존 주택을 3년 내에 팔면 1주택자로 간주
https://bit.ly/35euAP1
임대차법후 5개월 서울 전셋값, 직전 5년 만큼 올라
- 지난해 7월 임대차법 시행 이후 5개월간 서울 아파트의 중위 전세가격 상승분이 시행 이전 약 5년 동안 오른 전세가격에 맞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 부동산 리브온에 따르면 2015년 11월 서울 아파트 중위 전세가격은 3억7210만원으로 임대차법 시행 이전(작년 7월)까지 4년 8개월 동안 9722만원 상승, 임대차법 시행 후 5개월간 오른 금액(9771만원)과 비슷
- 임차인 보호를 목표로 추진한 정책이 오히려 임차인 부담을 키운 셈
https://bit.ly/393uRW8
"통계청, 부동산 통계 문제점 알고도 만점 가까운 점수 줬다"
- 통계청이 한국부동산원(옛 한국감정원)의 부동산 통계에 여러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정작 통계품질진단 점수는 만점에 가까운 98점을 준 것으로 나타나
- 국민의힘 유경준 의원은 통계청의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통계품질진단 보고서’를 바탕으로 “통계청이 청와대와 국토교통부의 눈치를 보느라 정확한 지적을 하지 못하고 해당 통계에 높은 점수를 줬다”고 주장
- 유 의원은 “현실과 괴리가 있는 부동산 통계에 대해 국민적 신뢰도가 떨어지고 통계청이 스스로 표본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면서도 표본 관련 진단 항목에 대부분 만점을 준 것” 이라며 비판
https://bit.ly/3pZ1xqD
KCC, 글로벌 실리콘 사업 통합…"시너지 확대 목적"
- KCC는 KCC실리콘을 비롯해 실리콘 사업 부문 자회사들을 모멘티브에 양도해 모멘티브의 지주회사인 MOM 홀딩스의 주식 2만1천468주를 약 3,998억원에 추가 취득한다고 공시
- 양도 대상 회사는 지난달 1일 물적 분할을 통해 설립한 KCC실리콘과 영국 실리콘 자회사인 KCC바실돈, 중국 광저우 법인인 KCG 내 실리콘 사업부
- KCC 관계자는 "이번 양도는 KCC가 미래성장동력으로 삼은 실리콘 사업 부문의 전문성을 높이고 경영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 라고 언급
https://bit.ly/3njLt0L
● 통신서비스/지주회사
방통위, 단말기 공시지원금제 개편…"출고가 투명화·매장 지원금↑추진"(뉴시스)
- 방송통신위원회는 이통사가 지급하는 단말기 공시지원금에서 제조사의 지원금을 별도 공시함으로써 출고가 구성을 투명화하게 공개될 수 있도록 추진
- 또한 통신사 약정 위약금 부담을 경감하고 단말기 유통점에서 이용자에게 추가 지급하는 지원금 범위(현행 공시지원금의 15%)를 확대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
- link: https://bit.ly/35c1uzO
정부 상속세율 인하 카드 '만지작'..이재용 '승계 길' 터주나(파이낸셜)
- 임재현 기획재정부 세제실장은 6일 세법 후속 시행령 개정안과 관련한 브리핑에서 "지난 정기 국회에서 상속세 개선 방안에 대해 검토할 것이 요청돼 올해 연구용역이 진행될 것"이라고 밝힘
- "정부는 상속세율 인하는 많은 국민들의 공감대 형성이 전제돼야 조정이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
- link: https://bit.ly/3pLOmZY
● 인터넷/게임
네이버, 건설업 직접 진출하나...YG엔터와 합작사 설립
- 네이버와 YG엔터테인먼트는 각각 47.50%의 지분을 소유
- 사업목적에서 유추되듯 국내 빅3 엔터테인먼트 기업인 YG엔터테인먼트와 합작회사라는 점에서 공연기획 및 전시 등의 사업을 영위하는 합작회사로 추정
- 네이버 관계자는 건설사들이 갖고 있는 사업목적이 합작회사 사업목적에 들어가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한 질의에 “설립 초창기라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말하기는 어렵다”며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시설의 사업 타당성을 검토하는 단계”라고만 설명
"쿠팡, 나와!"…네이버 멤버십 6개월 만에 250만명 돌파
-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가입자가 사업 개시 6개월 만에 250만명. 지난해 3분기 콘퍼런스콜에서 연내 목표로 제시한 200만명 상회 vs. 현재 500만 명의 회원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진 쿠팡 ‘로켓와우 멤버십’(2018년 10월 출시) 성장 속도보다도 빠름
- 네이버 관계자는 “이용자 편의를 위한 추가 혜택도 준비 중”이라고 밝힘. 네이버쇼핑의 단점으로 지적돼 온 배송 속도를 보완해 멤버십 혜택으로 내놓을 것. 작년 10월 네이버는 CJ그룹과 지분 맞교환으로 CJ대한통운 자사주 7.85%를 취득하는 등 배송 유통망 강화
● 미디어/엔터/레저
일본 코로나19 신규확진자 5000명 육박…7일 긴급사태 선언(디지털타임스)
- 기사링크 : https://bit.ly/399Q0xG
올림픽 낙관하는 바흐 위원장 “일본의 자랑 될 것”(국민)
- 기사링크 : https://bit.ly/3nlu7AF
갓세븐 유겸, JYP 떠나 AOMG 이적설..."재계약 논의 중"(한국일보)
- 기사링크 : https://bit.ly/3ncM3gQ
JYP 측 “데이식스, 1월 24일 온라인 공연 개최”(뉴스엔)
- 기사링크 : https://bit.ly/2LtvPCA
'BTS 수상 도전' 그래미 시상식, 코로나 확산에 3월로 연기(마이데일리)
- 기사링크 : https://bit.ly/38jRIgR
NCT ‘빌보드200’ 39위→36위 역주행(스포츠경향)
- 기사링크 : https://bit.ly/3s1r83K
큐브엔터, 웹툰 플랫폼 ‘만화가족’ 손 잡고 드라마제작 나선다(스포츠월드)
- 기사링크 : https://bit.ly/3nnlS78
네이버, YG엔터와 부동산개발 공연 합작사 설립(블로터)
- 기사링크 : https://bit.ly/3pVEpcy
CJ ENM 자회사 본팩토리, 美 엔데버 콘텐츠와 글로벌 콘텐츠 시장 공략(전자신문)
- 기사링크 : https://bit.ly/3ojrpNp
‘#살아있다’, 2020년 美 넷플릭스서 가장 많이 시청한 외국영화 TOP4 “한국영화 최초”(마이데일리)
- 기사링크 : https://bit.ly/3bq6TXZ
방통위, 이젠 OTT·유료방송도 지상파와 동일법 규제(파이낸셜)
- 기사링크 : https://bit.ly/38iJxBx
방통위, KBS 수신료 인상·지상파 중간광고 허용 추진(스포츠경향)
- 기사링크 : https://bit.ly/2MFjfkv
기아차, 새 로고·브랜드 슬로건 공개…‘미래차 선도’ 의지 담아(경향)
- 기사링크 : https://bit.ly/35k5uhI
● 화장품/음식료
제주도 외국인 일일 입도 현황
- 2020년 12월 1일 ~ 31일 누적 : 2,803명(yoy -98%, mom -47%)
- 2021년 1월 1일 ~ 5일 누적 : 366명(yoy -98%, mom -34%)
중국 주요 항공사별 일일 여객 수송 현황
(동방항공 포함 총 15개 중국 항공사, 여객/도착 인원)
- 2020년 12월 1일 ~ 31일 누적 : 3,236명(yoy -99%, mom -26%)
- 2021년 1월 1일 ~ 6일 누적 : 567명(yoy -99%, mom -27%)
글로벌 업체 주가 동향
- L'Oreal: +0.10%, Estee Lauder: -0.19%, P&G: +1.05%, Shiseido: -1.48%, Shanghai Jahwa: +0.61%
- Proya: +0.53%, YSG: +5.67%, LVMH: -0.77%, Kering: +0.65%
(더벨) 혁신 vs 구조조정…LG생건·AP 엇갈린 다짐
- link: https://bit.ly/3q0KPal
(아이투자) 국내 화장품 온라인 매출 회복세 지속
- 지난해 11월 화장품 모바일 쇼핑 매출액은 4836억7000만원으로 전월 대비 9.5% 증가
- link: https://bit.ly/395WM7D
(한경) 이병만 코스맥스 대표 "디지털 대전환…AI 플랫폼 사업모델 구축"
- link : https://bit.ly/398IdAf
(Hainan Ribao) 하이난 설날 성과 (면세품, 쇼핑객 수치 추가)
- 면세 매출 5.4억 위안 (YoY+200%), 면세품 66.9만개(YoY+80.9%) 판매, 쇼핑객 7.6만명 방문(YoY+195%)
- link : https://bit.ly/3s1qOlS
(머투) 루이비통, 새해 '기습 인상'...인상폭 최대 25.6% '충격'
- link: https://bit.ly/3nm2RSL
(중소기업뉴스) CJ올리브영, 동남아 최대 온라인 쇼핑 플랫폼 '쇼피(Shopee)' 진출
- link : https://bit.ly/3pUhmP5
(mbc) 경찰, '영진약품 부당합병 의혹' KT&G 압수수색
- link : https://bit.ly/2LnnEb8
(TV조선) '코로나 집밥족' 장바구니 부담↑…엥겔지수 20년만에 최고
- link : https://bit.ly/3pVZWBS
(아주경제) “돌격 앞으로”…진격의 ‘K-푸드’
- link : https://bit.ly/3hODc3K
(SBS) 진로이즈백 없어서 못 팔 지경인데…규제에 발목 잡힌 하이트진로
- link : https://bit.ly/2Xiuamg
(더셀럽) ‘극한직업’ 식품 제조 업계, 수출 물량 늘어 “눈 코 뜰새 없이 바빠”
- link : https://bit.ly/2KYD2uU
● 증권/보험 정태준
- 1월 6일 거래대금 46.6조원 (vs. 2020년 평균 23.0조원, 4Q20 평균 27.6조원)
- 1월 5일 신용공여 잔고 37.2조원 (vs. 2020년 평균 30.4조원, 4Q20 평균 35.6조원)
[증권]
(MBC) 키움증권, 하루 동안 4만 계좌 신규 개설…역대 최대
- 키움증권은 어제(5일) 하루 동안 신규 계좌 3만9천756좌가 개설돼 키움증권 사상 하루 기준으로 최대를 기록했다고 발표
- 연초 이후 일평균거래대금이 역대 최고치를 매일 경신 중에 있는 만큼 증권주 랠리도 지속될 수 있을 전망
- link: https://bit.ly/3bc8QXD
'특징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장 특징주_21.01.07 (0) | 2021.01.07 |
---|---|
장전 시장별 이슈 체크_21-01-07 (0) | 2021.01.07 |
해외 증시 마감 시황_21.01.07 (0) | 2021.01.07 |
장전 프리핑_21.01.06 (0) | 2021.01.06 |
해외시장 마감 시황_21.01.06 (0) | 2021.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