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수급주체별 순매수 Top 10
* 수급주체별 월간누적순매수 규모(단위: 조원)
- 기관 약 20조원 순매도, 외국인 약 6조원 순매도
- 개인 약 26조원 순매수
* 수급주체별 순매수 상위 특징주
- 기관: SK(자회사 IPO모멘텀 및 신사업 확장), 빅히트(K팝 플랫폼 협업 및 신규투자), 2차전지 관련주
- 외국인: NAVER, 카카오, LG화학에 대한 '롱 포지션' 1월 내내 이어져
- 개인: 월간 26조원 순매수 중 상위 Top 10에만 약 17조원 순매수. 삼성전자 부동의 1위(10.2조원)
1월 국내증시 외국인 수급과 환율
1월 첫 3주간 외국인의 수급은 '특이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았지만 1월 마지막 주 들어 매도규모를 확대하며 월간누적기준 약 6조원에 가까운 자금을 순매도. 특히 1월 마지막 4거래일에 집중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로 인해 금주에만 달러/원 환율은 1100원 초반에서 1120원 대까지 약 2% 정도 상승했다. 더불어 달러인덱스(DXY) 역시 소폭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90.5 ~ 90.7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는 만큼 추후 변동성 확대에 따른 달러 방향성 귀추에 주목 할 필요 하다.
주요국 증시 주간 동향
1월 글로벌 증시는 '단 맛(상승)'은 길었지만 '쓴 맛(조종)'은 짧고 강렬했다. 1월 첫 3주간 상승세를 보였던 글로벌 증시는 마지막 주 하락으로 인해 첫 3주간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는 모습을 보였다.
코로나 확산세로 인해 '사회적거리두기(락다운)'가 지속되고 있는 유럽 증시는 부진한 모습을 이어갔다. 미국 FAANG 기업들의 양호한 실적 발표와 FOMC의 완화적 스탠스에도 불구하고 '공매도이슈'가 불거지며 증시의 뜨거운 감자로 부상 중에 있으며, 이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서 최근 불거진 이슈와 관련해 면밀한 조사를 하겠다고 발표한 상황이다.
아시아증시에서는 베트남 증시가 지난 주 5% 하락하며 본격 조정국면에 진입했다. 한 주간 무려 14%가까이 하락하였지만 금요일 3% 넘게 반등나오며 주간 9.4% 하락 마감했다. 코스피, 코스닥지수도 주간 기준 5% 넘게 하락 마감 했다.
주요국 증시 주간 Hot Stocks
주요국 증시 전반적으로 '경기민감주'보다는 '경기방어주'가 강세를 보인 한 주 였다. 증시 상승세가 둔화되며 상승 폭은 크지 않은 반면 개별 기업 이슈에 따라 주가 등락이 다르게 나타났다.
[미국] 애보트연구소(ABT)의 경우 4Q20 호실적 발표와 최근 미국 내 코로나 변종바이러스에 대한 우려로 주간 상승률 9.5%를 기록했고, 이외에 진단키트업체들 퀴델(QDEL), 코다이애그노틱스(CODX), 풀젠트제네틱스(FLGT) 등 동반 강세를 보였다.
[홍콩] 에버그란데신재생에너지차의 경우, 37억 달러 규모의 자금조달을 통해 재무구조개선 및 신재생에너지차에 집중하겠단 소식에 주간 상승률 42%나 기록했다.
[대만] 반도체, IT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가전 등 테크 중심 기업들의 부진 속에 유니프레지던트엔터프라이즈와프레지던테체인스토어같은 내수소비/유통 관련주가 강세를 보인 한 주 였다.
[베트남] 일평균 10여명 미만의 코로나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었으나 지난 수요일 80여명이 넘는 집단감염이 발생했다는 소식과 함께 낙폭을 키우는 모습이었고 주요국 중 선제적인 조정이 지난 주부터 나타난 상황이다.
[국내] 셀트리온이 항체치료제 '렉키로나주'에 대해 제한적 투여 권고를 받으면서 국산 치료제에 대한 일말의 '빛'을 보여줬음. 더불어 삼성바이오로직스 호실적 발표와 함께 동사에 대한 기대감 높아지면서 그 동안 부진했던 건강관리 섹터가 1% 넘게 상승 마감 했다.
'특징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승률 TOP 30 종목 (0) | 2021.02.01 |
---|---|
글로벌 주요 뉴스 (0) | 2021.02.01 |
조정의 배경, 싱가포르의 MSCI 선물 라이선스 종료 (0) | 2021.02.01 |
오늘장 특징주_장중 급등락 종목, 52주 최고가, 시간외 특징주 (0) | 2021.01.31 |
특징주(52주 신고가, 장중 급등 종목, 급락 종목, 시간외 특징 종목) (0) | 2021.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