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 일정
- 실적발표 : LG이노텍, 에스티팜, 동서
- 보호예수 해제 : 에이티세미콘, 아이엠이연이, 위지윅홀딩스, 윌링스
- 신규상장 : 대림산업 인적분할법인 디엘이엔씨 상장
▣ 국내 일정
- 소상공인 버팀목 자금 추가 지급
- 임차 소상공인 대출 지원
- 방문돌봄종사자 한시지원금 신청
- 한국정부 · 모더나사 기술협력 회의
▣ 해외 일정
- 트럼프 탄핵안 상원 송부
- Buy American 행정명령 시행
- 킴벌리클라크 실적 발표, 카니발 실적 발표
▣ 투자 하이라이트 (체크 포인트)
- 한국 경기 선행지수 9개월째 상승 (OECD 29개국 중 최장기간)
- 한국무역협회 - 바이든 시대 '신재생 · 전기차 ·바이오헬스'수출 유망
- SK(주) 첨단소재 · 바이오 등 4대사업 중심으로 투자 포트폴리오 재편
- 미 증시 혼조 마감, WTI 1.6% ↓,금0.5↓,NDF 2.35원 ↑
- 미 상원 "금융위원회", 옐런 재무장관 인준 승인 의결
- '서학개미' 보유한 테슬라 주식 100억달러 (11조) 넘어
- GS건설, 작년 영업이익 7천512억원 (전년대비 2.1% ↓)
- 대한전선, 작년 잠정 영업이익 515억원 (11년만에 최대치)
▣ 전일장 주요 공시
- 남광토건, 389억 규모 오피스텔 신축공사 수주
- 한국조선해양, 대우조선 인수 기한 연장 (EU 결합심사 지연)
- 그린플러스, 경남 스마트팜 사업 중 온실공사 계약 체결
- 동아화성,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123억 규모 자기주식 처분 결정
- 성우하이텍, 멕시코 법인 231억원 출자 (GM 수주 주목)
- 키다리스튜디오, 레진엔터테인먼트 주식 16억원에 취득
- 아이디스홀딩스, 케이티파워텔 주식 406억원 신규 취득
▣ 주요국 증시 등락률
▣ 주요국 특징 종목
▣ 시장 리뷰
Korea Market
1. 업종별 차별화. 거래소 -0.64%, 코스닥 -0.14%
- 차주 미 FOMC와 실적 시즌을 앞두고 관망세가 짙은 가운데 전반적으로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장 후반 지수가 밀리며 하락 마감
- 주 중 강세를 보였던 자동차 업종은 약세 마감한 반면, 인터넷 플랫폼 업종(NAVER, 카카오 등)은 전일에 이어 강세
- 언론보도를 통해 텐센트가 검토 중인 인수합병 자금 조달 계획 관련하여 인수 후보군 중 한국 업체가 유력하다는 보도로 국내 게임업종 강세
2. 주요 이벤트가 많은 한 주
- 한국 증시에선 LG이노텍(월)을 시작으로 현대차(화), LG화학(수), 네이버(목), SK하이닉스(금) 등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예정
- 26일(현지시각 기준) 예정된 FOMC를 비롯,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테슬라, 페이스북과 같은 성장주들의 실적발표도 금주에 다수 예정. 이들 이벤트의 영향에 주목 필요
USA Market
1. 다우 0.57%. S&P500 0.30% 하락한 반면, 나스닥 0.09% 상승
- 대규모 추가부양책에 의구심을 나타내는 공화당의원들로 인해 불안감 높아짐. 이런 가운데 영국 1월 PMI가 40.6으로 전월 50.4 대비 크게 하락하면서 유럽 경제회복 우려도 확산됨. 다행히 미국 IHS 1월 제조업 PMI가 59.1로 전월 57.1 대비 상승(사상 최고치 기록). 미국 NAR 12월 기존주택판매도 676만채로 전월대비 0.7% 증가. 이날 WTI는 배럴당 1.62% 하락한 52.27달러 기록. 달러화 하락, 금값 상승.10년물 국채금리 하락
2. S&P500섹터 중 커뮤니케이션, 부동산 등 상승 vs 기술, 에너지, 산업재 등 하락
- FAANG종목 중 애플, 페이스북, 구글이 상승했고 MS, 테슬라도 각각 0.44%, 0.20% 소폭 상승 (차주 애플, 페이스북, MS, 테슬라 등 실적발표 앞둔 상황).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 1.84% 하락, 인텔은 전일 실적이 사전유출된 가운데 실적 가이던스 제공하지 않자 9.29% 급락. 그외 IBM은 부진한 실적으로 인해 9.91% 급락
China Market
1. 상해증시 -0.40%, 선전증시 +0.70%, Star50 +0.27%, Chinext +2.27%
- 중국 코로나19 재확산세와 CRO 업체 호실적 기대감으로 진단키트·장비, 제약바이오 섹터 강세가 부각. 또한, 바이든 대통령의 파리기후협약 재가입 기대감으로 신재생에너지 테마주는 연일 급등
- 거래대금은 1.1조위안을 기록. 외국인자금은 20.20억위안 순유출하며 매도세 전환(후구퉁 -7.91억위안, 선구퉁 -12.22억위안)
- 23일 기준 코로나19 본토 확진자 65명으로 동북3성 이외에도 상하이 3명, 베이징 2명 등 인구밀집도 높은 도시에서 확진자가 연속 발생하며 지역확산에 대한 우려가 부상
2. 진단키트, CRO, 신재생에너지 테마주 강세
- 상승 섹터: 제약바이오 +3.69%, 전기설비 +3.17%, 여행/서비스 +2.94%, 화학 +0.65%
- 하락 섹터: 부동산 -2.41%, 통신 -2.26%, 에너지 -2.25%, 비은행금융 -1.88%
- 동북3성 외에도 상하이, 베이징, 산시성(山西) 등 인구밀집도가 높은 지역에서 코로나19 추가 확진자가 발생하며 적악진단, 달안유전자, 등 진단키트·장비 관련주 연일 급등
- 오비광, 애플 카메라 모듈 공급망 퇴출 소식(비공식)으로 연일 급락(당일 -7.98% 급락)
'특징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장 특징주_장중 급등락 종목, 52주 최고가, 시간외 특징주 (0) | 2021.01.31 |
---|---|
특징주(52주 신고가, 장중 급등 종목, 급락 종목, 시간외 특징 종목) (0) | 2021.01.26 |
특징 종목_장중 급등락, 시간외 급등락, 52주 최고가 (0) | 2021.01.21 |
시간외 특징 주식_성도이엔지, 기아차, 현대위아, 뉴인텍, 현대모비스 외 (0) | 2021.01.19 |
주간 증시 동향 및 시황 정리 (0) | 2021.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