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미국 증시는 지난 주 최고점을 갱신한 후 주가 급등에 대한 우려, 트럼프 대통령 탄핵 움직임을 주시한 가운데 장 중반부터 하락세가 심화되며 3대 지수 모두 하락 마감.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일의 취임식이 오는 20일 열릴 예정인 가운데 민주당은 금일 지난 의회 난동 사태 선동에 대한 책임을 물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탄핵 소추안을 발의. 투자자들은 탄핵안 표결 등의 절차로 인해 14일 윤곽을 드러낼 예정인 추가 부양책의 도입 속도가 저하될 것을 우려. 이에 더해 이번주 금요일 제이피모건(JPM/+1.5%), 씨티그룹(C/+1.6%)를 시작으로 기업들의 지난 분기 실적발표가 예정돼 있는 점도 투자자들의 관망세를 초래.
[미국 섹터별 ETF]
섹터별 ETF의 경우, 대부분의 섹터가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에너지(XLE), 헬스케어(XLV) 및 금융(XLF) 섹터만이 상승 마감. 헬스케어 섹터의 경우 일리아릴리(LLY/+11.7%)가 동사가 개발중인 알츠하이머 치료제 Donanemab이 임상 시험에서 알츠하이머 초기 환자의 일상 기능 저하를 늦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급등, 섹터의 상승세를 주도. 이외에 금요일부터 실적발표가 예정돼있는 금융 섹터는 제이피모건(JPM/+1.5%), 뱅크오브아메리카(BAC/+1.7%) 등이 상승하며 소폭 상승 마감. 반면 커뮤니케이션(XLC) 섹터 ETF의 경우 트위터(TWTR/-6.4%)가 트럼프 대통령의 계정을 영구정지하면서 향후 SNS 및 관련기업에 대한 규제 증가 우려를 촉발시키며 페이스북(FB/-4.0%) 등 관련 종목 하락을 주도하면서 1.8% 하락 마감.
[미국 섹터별 ETF]
테마 ETF의 경우 금일 증시 하락세의 영향으로 상승폭이 제한된 가운데 대마(MJ), 주거건축(XHB), 반도체(SOXX) ETF가 상승세를 기록. 주거건축 ETF에서는 탑빌드(BLD/+3.7%), 레나(LEN/+3.4%) 등이 강한 상승세를 시현. 반도체 ETF는 브룩스오토메이션(BRKS/+6.1%)와 대만 증시에서 강세를 유지했던 TSMC(TSM/+3.3%)가 강한 상승세를 보이며 ETF 상승세에 기여.
[유럽 증시]
유럽증시는 코로나19 확산세에 대한 우려 속 소폭 하락 마감. 코로나19 백신접종이 예상보다 더디게 진행되는 가운데 유럽 각국의 코로나 19 확산세가 감소하지 않으면서 투자심리 위축이 증시 하락 요인으로 작용. STOXX 600 지수는 헬스케어를 제외한 전 섹터가 하락세를 보이며 0.7% 하락 마감. 경기 민감 섹터들이 하락세를 주도한 가운데 카니발(CCL/-1.6%)가 금일 예상을 상회하는 분기 순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지며 여행 및 레저 관련 기업들의 주가 동반 하락을 초래. 헬스케어 섹터만이 0.6% 상승한 가운데 스위스 제약기업 로슈 홀딩(RO/+3.5%)이 동사의 인플루엔자 환자용 치료제 Xofluza를 유럽위원회로부터 사용 승인을 받으면서 가장 높은 상승세를 기록
'특징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 시장 마감 시황_21.01.13 (0) | 2021.01.13 |
---|---|
오늘장 특징주_21.01.12 (0) | 2021.01.12 |
오늘장 특징주 _ 상승율 TOP 30, 시간외 급등 & 하락 (0) | 2021.01.11 |
방송추천주 & 목표가_일진머티리얼즈, 세원, 현대에너지솔루션, 나인테크, 호텔신라, 제이엔케이히터, 덕산네오룩스 외 (0) | 2021.01.11 |
오늘장 특징주_21.01.07 (0) | 2021.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