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징주

21년 초 패시브 이슈 점검 (돈의 흐름을 점검 하자!)

by 엔트홍(Anthong) 2021. 1. 4.
반응형

1. 강화될 트럼프 행정명령 효과 (긍정적 효과, 국내 MSCI 편입 종목 관심)
트럼프의 '중국군 지원기업 투자제한' 행정명령 관련, MSCI 지수에서 11종목이 편출(1/5)
→ 국내 증시의 유입효과는 3,622억원

최근 미 정부는 지분율 50% 이상 관계사 요건외에도 국방부 협의하에 지정된 관계사도 대상에 포함시킬 것을 발표

차이나모바일 등이 편출될 수 있는 사유
뉴욕거래소는 중국 통신 3사의 ADR 상장폐지를 발표(1/11 이전 거래정지). MSCI 등도 추가 편출할 가능성이 높음


2. 미국 외 투자유치가 필요한 중국, 마윈 보복의 실기

행정명령 발표 당시 리스트는 31종목. 1개월 가량 경과한 현재 40종목까지 증가
미 상무부의 대중 제재 리스트 60종목을 감안하면 추가될 공산이 큼

중국의 EU와의 포괄적 투자협정(CAI) 체결 등은 미국 외 권역 투자유치를 제고해야 하는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

중국의 마윈 보복조치는 패시브적 gain을 감소시키는 기제. 반독점 규제 등으로 알리바바 등이 급락하면서 신흥국 1위는 TSMC가 차지

3. 국내 레버리지/인버스 2X ETF 규제

국내 레버리지/인버스 2X ETF 규제로 거래대금이 감소할 것. 금일부터 기존 투자자도 예탁금 제도를 적용

레버리지 ETF는 투기적 수요이기는 하지만, 설정 목적의 현물, ETF 매수로 연결. 지수급락 국면에서 KOSDAQ150 지수의 완충효과가 약화될 것

KOSPI200도 인버스 2X ETF 규제로 지수선물 매도가 약화될 것. 인버스 2X ETF 향 지수선물 저평가 해소로, 베이시스 개선 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중심의 급등 현상은 감소할 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