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슬기로운 투자 생활/리포트 요약

프로티아 IPO 분석 : 키움증권 리포트 [2024년 6월]

by Anthong 2024. 6. 10.
반응형

프로티아 IPO 분석 : 키움증권 리포트 [2024년 6월]
프로티아 IPO 분석 : 키움증권 리포트 [2024년 6월]

안녕하세요, 투자자 여러분!

오늘은 키움증권에서 발행한 최신 프로티아(303360) IPO 분석 리포트를 소개합니다. 이번 분석에서는 프로티아의 강력한 성장 가능성과 다양한 진단 제품 포트폴리오를 중점적으로 다루며, 중장기적인 투자 매력도를 상세히 설명합니다.

프로티아의 현재 상황

  • 현재주가 (6/7): 3,050원
  • 시가총액: 393억 원
  • 52주 주가동향: 최고가 5,800원, 최저가 2,665원
  • 발행주식수: 12,877천 주
  • 외국인 지분율: 0.1%
  • 배당수익률(2023): 0.0%

회사 개요 및 주요 제품

프로티아는 인체용 알레르기 진단 제품을 필두로 다양한 진단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이 기업은 알레르기 진단 시약, 동물용 알레르기 진단, 항생제 감수성 검사 등 여러 제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 번에 여러 항원을 검사할 수 있는 다중 혈청 검사(MAST) 기술을 활용한 제품들은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프로티아의 주요 제품:

  • 프로티아 알러지-Q: 국내 식약처 허가를 받은 알레르기 진단 키트. 2014년부터 시작해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된 버전을 출시하고 있으며, 최신 제품은 한 번에 최대 128개의 알레르기 항원을 검사할 수 있습니다.
  • 프로티아 알러지-Q 128M: 2022년에 출시된 이 제품은 128개의 알레르기 항원을 한 번에 검사할 수 있는 다중 혈청 검사 키트로, 국내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프로티아 AST DL001: 항생제 감수성 신속 진단 키트로, 2022년 국내 식약처 허가를 획득하였습니다.

알레르기 진단 시약 매출 전망

프로티아는 2023년 매출액 82억 원(YoY +7.6%), 영업이익 2억 원(YoY -84.4%, 영업이익률 2.0%)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회사는 장기적으로 2028년 전사 매출액 1,000억 원 수준으로 성장시킬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 69.5%를 알레르기 진단 시약으로 창출할 예정입니다.

알레르기 진단 시약 매출 목표:

  • 2023년: 61억 원
  • 2028년: 695억 원

강점 및 기술력

프로티아의 강점은 알레르기를 한 번에 여러 종류를 빠르게 진단할 수 있는 기술력에 있습니다. 프로티아 알러지-Q 시리즈는 다중 혈청 검사(MAST) 방식을 활용하여 빠르고 정확한 알레르기 진단이 가능하며, 이는 시장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해외 시장 개척 및 CAPA 확대

프로티아는 해외 시장으로의 도약을 위해 현지 JV 및 생산기지 확보를 통해 CAPA를 2028년 연간 750만 테스트까지 늘릴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매출 다변화를 도모할 예정입니다.

해외 시장 진출 준비:

  • CAPA 확장: 연간 750만 테스트 이상의 생산 능력 확보
  • 현지 JV 및 생산기지 구축: 자동화 기기를 도입하여 생산 효율성 확대

결론

프로티아는 강력한 기술력과 다각화된 제품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중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알레르기 진단 시약 시장에서의 독보적인 위치와 지속적인 제품 업그레이드를 통해 국내외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키움증권의 이번 리포트를 통해 프로티아의 투자 매력을 확인하시고, 성공적인 투자를 기원합니다.


용어 설명

  • EBITDA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법인세, 이자, 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
  • YoY (Year over Year): 전년 동기 대비. 한 해 전 같은 기간에 비해 성장률을 나타내는 지표.
  • PER (Price to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으로, 낮을수록 저평가된 상태.
  • PBR (Price to 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 주가를 주당순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낮을수록 저평가된 상태.
  • CAPA (Capacity): 생산능력. 공장이나 설비가 최대한 생산할 수 있는 양.
  • JV (Joint Venture): 합작 투자. 두 개 이상의 기업이 공동으로 출자하여 새로운 회사를 설립하는 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