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슬기로운 투자 생활/리포트 요약

[카카오 리포트 분석] 전략적 의사결정이 필요한 시점 - 목표주가 5만 6천원으로 하향

by Anthong 2024. 6. 10.
반응형

[카카오 리포트 분석] 전략적 의사결정이 필요한 시점 - 목표주가 5만 6천원으로 하향
[카카오 리포트 분석] 전략적 의사결정이 필요한 시점 - 목표주가 5만 6천원으로 하향



키움증권은 카카오에 대해 투자의견 'BUY(매수)'를 유지했지만, 목표주가는 기존 6만 9천원에서 5만 6천원으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카카오가 보유한 다양한 사업 분야의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신속히 추진하지 못하면 데이터의 가치가 약화되고 AI 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고 지적했는데요.

현재 카카오는 경영진 교체 이후에도 AI 전략에 있어 가시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플랫폼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조직 운영에 있어서도 관리 체계를 강화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나치게 경직된 조직 문화는 혁신을 저해할 수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키움증권은 카카오 본사와 주요 계열사들의 기업가치를 평가해 카카오 전체 적정가치를 산출했는데요. 사업 부문별로는 카카오페이와 뱅크, 모빌리티, 엔터테인먼트 등의 가치를 일부 하향 조정했습니다.

실적 전망에 있어서는 2024년 매출액 8조 5,356억원, 영업이익 6,567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12.9%, 42.5%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다만 순이익은 비지배지분 손실이 확대되며 5,253억원으로 적자 규모가 축소되는데 그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본사 지배주주 순이익은 5,419억원으로 흑자 전환할 전망입니다.

2024년 현금창출력(EBITDA)는 1조 5,156억원으로 23년 대비 24.1% 증가하고, 영업이익률도 7.7%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최근 AI 경쟁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카카오도 전략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으로 보입니다. 기존에 확보한 사용자 기반과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하고 외부와의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낼 수 있을지가 관건이 될 것 같네요. 

다만 하반기부터는 광고와 커머스 부문의 실적 개선으로 성장세는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ESG 평가 기관 MSCI는 카카오에 대해 AA등급을 부여했지만, 최근 등급 추세는 하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나 인력자원 개발 부문에서 개선이 필요해 보입니다.

키움증권의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실적 전망 등을 참고로 투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